Money Now
Money Now
딸에게 들려주는 경제이야기

호르무즈 해협 선별적 봉쇄ㅣ이걸 미국이 오히려 기다린 거라면?

2025년 이란의 호르무즈 해협 봉쇄안 통과는 단순한 반격이 아닌, 미국이 설계한 전략적 판일 수 있습니다. 유가, 금리, 에너지 패권, 그리고 글로벌 수출 구조의 변화까지 연결되는 이번 사태의 핵심 인사이트를 분석합니다.

 

호르무즈 해협 선별적 봉쇄ㅣ이걸 미국이 오히려 기다린 거라면?

너무 뜬금없고, 너무 비현실적으로 들릴 수 있어.
하지만 지금 이 판, 생각보다 정교하게 설계된 그림일지도 모른다.



“이란이 칼을 들었다. 그런데 칼집을 만든 건 미국이었다.”

이란 의회가 호르무즈 해협 봉쇄안을 통과시켰다.
지금 남은 건 국가 최고안보위의 서명뿐.
한 나라가 세계 에너지 흐름의 20%가 지나는 바다를 ‘막을 수 있다’고 공식 선언한 셈이다.

이란 입장에선 어쩔 수 없었다.
미사일은 한계가 있고, 제공권은 상실했으며
핵 시설까지 타격받았다.
그럼에도 핵을 포기하지 않겠다고 선언한 이유는 간단하다.
굴욕적인 협상은 곧 정권 붕괴다.

“협상은 권력자에게 해답이지만, 독재자에게는 사형선고다.”

결국 이란이 선택할 수 있는 유일한 군사 외교 카드가 호르무즈 해협 봉쇄다.
하지만 이게 바로 미국이 기다리고 있던 트리거였다는 게 핵심이다.


“봉쇄가 시작되면, 혼란은 시작되지 않는다. 통제가 시작된다.”

호르무즈 해협이 막히면, 시장은 혼란을 외친다.
유가는 100달러를 넘고, 물류는 멈추며, 천연가스는 지연된다.

그런데 이 혼란이 진짜 혼란일까?
누군가에겐 계산된 기회다.

지금 이 순간,
세계 1위 석유 생산국은 미국이다.
세계 1위 천연가스 수출국도 미국이다.

“혼란의 시대, 물건을 쥔 자가 시장을 쥔다.”

러시아는 이미 고립됐고,
이란과 카타르의 수송선이 막히면
미국산 가스에 줄 서는 국가들이 폭증하게 된다.

단순한 자원 전쟁이 아니라,
수출 우위에 기반한 외교 권력 장악.
이게 트럼프가 말하지 않아도 설계하고 있는 그림일 수 있다.


“트럼프는 금리를 내리고 싶다. 그런데 유가는 그를 배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 흥미로운 모순이 등장한다.
트럼프는 금리를 낮추고 싶어한다.
재정적자가 심각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유가가 오르면?
소비자물가지수(CPI)는 다시 튀어오르고,
연준은 금리를 내릴 수 없게 된다.

“금리를 내리고 싶은 대통령, 금리를 못 내리는 경제. 그 틈이 거래의 자리다.”

그래서 트럼프는 이 기회를 외교·무역 카드로 바꿔
중국, 유럽, 아시아 국가들에 압박을 가하려 한다는 해석도 가능하다.


“이란이 칼을 휘두르면, 미국은 석유와 가스로 외교를 쥔다.”

만약 이란이 호르무즈 해협을 ‘완전 봉쇄’하진 않더라도,
‘선별적 봉쇄’—즉, 자국 우호국만 통과시키고
미국 동맹국 선박은 지연시키는 식으로 진행된다면?

바다 위 물류가 고속도로처럼 막히고,
그 자체로 유가와 가스가격이 상승한다.

이 타이밍에서, 미국은 셰일 업체에 인프라 확대 지시를 내리고
LNG 수출 확대, 관세 협상 압박,
중국산 에너지 의존 탈피 전환을 한꺼번에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위기는 통제 불가능한 재앙이 아니다. 방향을 바꾸는 핸들이 될 수도 있다.”


“그럼 우리는 지금 무엇을 봐야 할까?”

첫째, 셰일 오일과 가스 수출업체의 시총 변화
(예: 옥시덴탈, 엑손모빌, LNG 수출 인프라 기업)

둘째, 동아시아 3국의 LNG 계약 동향
(일본·한국·중국의 미국산 수입 전환 속도)

셋째, 환율과 유가, 그리고 미국 금리 발언의 시차

“폭풍이 온다고 준비하느냐,
아니면 바람의 방향을 바꾸느냐가 차이를 만든다.”

“이란이 봉쇄를 선택한 순간, 미국은 수출을 무기로 바꾸는 기회를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