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가상자산 투자자 종합소득세 신고 유예, 단 알아둘 것이 있다!
2025년 5월 31일, 종합소득세 일반 신고 마감까지 단 15일!
단, 가상자산 양도·대여 소득은 2026년 귀속분까지 별도 신고 의무가 없습니다.
과세는 2027년 1월 1일 이후 발생 소득부터 적용됩니다.
단, 가상자산 양도·대여 소득은 2026년 귀속분까지 별도 신고 의무가 없습니다.
과세는 2027년 1월 1일 이후 발생 소득부터 적용됩니다.
📋 “올해 비트코인·이더리움 수익을 종합소득세에 포함해야 하나요?”라는 질문이 많습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2026년까지는 ‘가상자산 전용’ 종합소득세 신고 의무가 없습니다.
2024년 12월 개정된 소득세법으로 과세 시점이 2년 더 미뤄져,
2027년 1월 1일 이후 양도·대여분부터 기타소득으로 과세됩니다.
📑 2025~2026년, 가상자산 투자자가 알아둘 신고 의무
- 양도·대여 차익은 2026년까지 과세·신고 의무 없음
- 스테이킹·디파이 이자·마이닝 보상 등 기타소득도 2026년까지 과세 유예
- 다른 소득(예: 근로·사업·배당)은 예정대로 2025년 5월 31일까지 종합소득세 신고
- 자료 보관 의무: 2027년 과세 대비, 모든 거래·수수료·원가 증빙을 5년간 보관
💼 “아직 2년 남았다” 지금 준비하는 3가지 절세 전략
- 거래 내역 통합·정리
국내·해외 거래소 CSV를 분기별로 내려받아 손익·수수료·입출금을 엑셀로 합치세요. - 취득가액 검증
초기 코인 매수 시점·평균 단가를 미리 확정하면 2027년 세액 산정이 쉬워집니다. - 장비·전력비 영수증 수집
마이닝·노드 운영자라면 전기료·장비 구입 영수증을 모두 스캔해 클라우드에 보관하세요.
💰 2027년부터 적용될 손실·공제 체계 미리보기
항목 | 주요 내용 (예고) | 포인트 |
---|---|---|
기본공제 | 양도·대여 차익 250만 원까지 비과세 | 연 1회 적용(인/세대 단위 아님) |
세율 | 기본공제 초과분 20% 단일세율(지방소득세 별도) | 누진세율 아님 |
손익통산 | 가상자산 간 손실·이익 상계 가능 | 해외·국내 통합 |
이월결손금 | 순손실 5년간 이월 | 신고 누락 시 이월 불가 |
경비 | 수수료·전력비·장비 감가상각 등 필요경비 공제 | 영수증·계좌이체 증빙 필수 |
📑 2027년 과세 대비 체크리스트
- 모든 거래소에서 분기별 CSV 백업
- 스테이킹·디파이 플랫폼별 수익 일자·수량·코인명 기록
- 마이닝 장비·전력비 영수증 스캔 후 클라우드 보관
- 해외 거래 환율 기준(거래일 0시 KRX 달러환율) 확인
- 손실 발생 시 연도별 손익계산서 작성—이월공제용
❓ FAQ
2025·2026년에 코인을 팔면 세금을 전혀 안 내도 되나요?
별도 신고 의무는 없지만 과세 시행 전까지의 거래 내역을 2027년 첫 과세 때 증빙해야 합니다. 손실·경비 증빙을 미리 챙기면 절세에 유리합니다.
스테이킹 보상도 2026년까지 과세되지 않나요?
네. 스테이킹·디파이·마이닝 수익도 2027년부터 기타소득으로 과세됩니다.
손실 이월공제 규정을 꼭 지켜야 하나요?
손실을 신고하지 않으면 5년 이월공제 혜택을 받을 수 없습니다. 거래기록 누락은 큰 세금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마무리 및 후속 조치
2025·2026년은 가상자산 과세 “준비 기간”입니다.
거래·수수료·손실 기록을 체계화하면,
2027년 첫 과세 때 합법적으로 세금 절약이 가능합니다.
지금 시작해 두면 2년 뒤 웃을 수 있습니다.